사진의 추억/[사진의 과학] 강좌 5

고급개체/스택합성을 이용한 장노출 합성

밤에는 "ND필터 없이" 찍고, 낮에는 "ND필터 끼우거나 말거나" 장노출 사진찍는 방법입니다. 대낮이나 오밤중이나 모두 해당되는 내용입니다. 무슨 수를 쓰든지 간에 1분에 1컷 정도만 (2분에 1컷도 괜찮습니다) 정(正)노출 사진을 찍으면 됩니다. -. 완전 자동모드로 찰칵~ 1컷을 찍든지 -. 카메라 A, B, C, D, E, F, G... ㅋㅋㅋ... 모드 상관없이 30초 동안 1컷을 찍든지 어두운 오밤중에 노이즈가 지글자글~~ 하더라도 무조건 1분에 1컷 정도만 찍으시면 됩니다. 1시간 정도 찍으면 Raw 파일이 60 여개 될 것입니다. 그 파일들로 장노출 합성하는 방법입니다. 1. 파일 -> 스크립트 -> 통계 2. 스택모드선택: 평균 "찾아보기(B)" 파일들 불러오기 --> "확인" (이제 컴..

고급개체/스택합성을 이용한 장노출 합성

최근에 포토샵 기능이 update되어, "파일"->"스크립트"->"통계"-> 스택모드 "평균" ... 기능으로 아래 내용을 수행해 주네요. 아래 내용은 참고로 읽어 보시기 바랍니다. =============================================== 아래 사진 2장은 서해안 갯골 밀물 또는 썰물 야간 장노출 표현입니다. 야간에는 ND필터가 당연히 필요 없겠지요. 이런 사진 찍는 방법을 공유합니다. "ND 필터없이" 장노출 사진찍는 방법입니다. 대낮이나 오밤중이나 모두 해당되는 내용입니다. 무슨 수를 쓰든지 간에 1분에 1컷 정도만 (2분에 1컷도 괜찮습니다) 정(正)노출 사진을 찍으면 됩니다. -. 완전 자동모드로 찰칵~ 1컷을 찍든지 -. 카메라 A, B, C, D.... 모드 상관없..

[CIS 이미지 센서] 초록색(Green)을 잘 다스리자.

아시다시피 요즘 DSLR 카메라와 휴대폰 카메라에는 CMOS Image Sensor (CIS)가 장착되고 있습니다. 반도체 연구원으로서 언젠가는 CIS에 대해 쉽게 이야기를 한번 풀어 보려고 진작에 마음을 먹고 있었는데, 복잡한 반도체 세계를 일반인들이 이해할 수 있도록 글로 표현하는 것이 한계가 있었습니다. CIS 공부를 하다가 보면, 제일 먼저 나오는 내용이 색깔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오늘은 그 색깔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제가 이야기 하는 색깔은 CIS 반도체를 만드는 과학/공학에서 바라다 보는 색깔이기 때문에 예술가 입장에서 바라다 보는 색깔과는 차이가 있음을 미리 말씀드립니다. A. 3원색의 탄생 CIS반도체 공부를 하다가 보면 원색이 어떻게 탄생했는지 그런 이야기도 나옵니다. 아시다시피 3..

[장노출] ND 필터 조합과 노출시간 설정... 그리고 실전

2020 All rights reserved. 이 글은 저작권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복제를 금합니다. 아래 사진은 서해안 갯골에 밀물이 차기 시작할 때부터 ND 1,000(천)과 ND 500(오백)을 포개어 --> ND 500,000(오십만)으로 담은 장노출 사진입니다. 1,000 X 500 = 500,000 을 기억하시고, 아래 글 천천히 읽어 보시기 바랍니다. 위 사진과 같이 최근 많은 분들이 장노출 사진을 찍습니다. 여기서 말하는 장노출은 별궤적, 은하수, 반딧불, 이끼 계곡 계류... 같이 할 수 없이 노출을 좀 주어야 하는 그런 장노출이 아니라 멀쩡한 대낮에 작가가 의도적으로 짧게는 2~3분, 길게는 1~2시간 의도적으로 긴 노출을 주어 "시간을 미분하고 다시 적분하는" 느낌의 사진을 찍는 그..